토요일, 12월 15, 2007

브레인 스토리(Brain Story)


부산으로 출장내려가는 길에 철도서점에서 샀다. 역시 책은 서점에서 골라가면서 사야 제맛으로 보는 맛이 있는거 같다.

뇌는 인간의 장기중 가장 특별한 부분으로 보인다. 생명을 이어가는 중요성에서는 뒤로 밀릴 수 있지만 의식을 가지는 사람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가장 중요한 부분일 수 밖에 없다. 어떤 사고로 신체가 손상되면 많은 부위들을 기증받은 장기나 신체의 일부분으로 대체할 수 있고 회복 후에는 사고전과 다름없이 똑 같은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뇌의 경우는 이식자체도 불가능 하겠지만 이식이 가능하다 가정해도 수술전과는 전혀 다른 사람으로 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그만큼 사람이라는 개념에서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책에서는 동물의 신체중 뇌의 영역이 가장 알려지지 않았고 최후까지 알아가야할 부분이라는걸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들과 함께 설명한다. 뇌연구의 진척이 더디고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뇌의 특정영역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언어에 관한 영역이라고 알려 졌던 부분도 다른 부위의 손상으로도 동일한 현상을 겪기도해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뇌가 이뤄내는 의식과 감정이 어떻게 구성되어 표현되는지를 밝히는게 뇌과학의 궁극적인 목적으로 보고 있다. 과학의 발달로 뇌가 가졌던 특정기능을 대체하는 것으로 보이는 기술들이 속속 선을 보이고 있다. 특히 기억과 연산부분은 컴퓨터의 능력이 일반적인 뇌의 기능보다 훨씬 뛰어넘고 있다. 하지만 뇌가 가지는 진정한 특성은 사람마다 가지는 개성과 감정, 의식에 있다. 이런 의식과 감정을 컴퓨터로 구현하지 못하고 있고 과학이 아무리 발달해도 쉽게 구현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 가 있다는 이야기를 믿는 편인 나는 의식의 부분에 있어서는 과학의 영역을 넘어서 혼의 이야기도 나와 주기를 기대했었다.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과학적인 측면에서 뇌의 이야기를 풀어 간다. 뇌연구 부분에서 과학이 가진 한계를 인정하고 DNA와 미지 영역의 신비함을 과학적인 입장에서 이야기 하지만 누가나 수긍할 수 있을 정도로 편하게 이야기 해나가는 책이었다.

일전에 책에 관한 TV프로그램에서 사후세계에 관련된 책을 주제로 토론 하는걸 본적이 있다. 토론참석자는 사후세계를 긍정하는사람, 긍정하지 않는 사람, 중도적인 입장인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사후세계의 경험을 부정했던 토론자는 어느 국가연구기관의 박사였었다. 과학이 설명하지 못하는 이야기들을 과학이 풀어나갈 과학의 영역이라고 간단히 정리해버려 다른 의견이 들어설 틈을 주지 않는 태도가 거슬리게 보였던 걸로 기억이 된다.

그 책에 나오는 일화로 큰 교통사로고 사후세계를 경험한 사람의 이야기를 사회자가 했다. 사고 직후 그 사람은 아무런 고통없이 교통사고가 처리되는 모습을 공중에서 지켜보고 있을 수 있었다고 증언했다. 그리고 사고현장 뒤로 줄지어 서있는 차속에 사고를 당한 자신을 위해 기도를 하고 있는 사람을 보았다고 한다. 고마운 마음에 차번호를 기억했었고 병원에서 퇴원한 후 고마운 마음에 직접 찾아가 인사를 했다는 이야기였다. 영혼의 존재를 수긍할 수 있는 이야기도 그 사람에게는 아직 풀지 못한 뇌의 기능일 뿐이었다.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사람이 살아가는 곳에는 과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 많다. 평소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과학적인 것으로만 이해하려는 관습때문에 눈에 띄지 않을 뿐이다. 과학적인 영역과 비과학적인 영역은 함께 설 수 없는 것일까? 과학이 가지는 긍정적인 면들을 수용하지 않을 이유는 없지만 모든것을 과학으로만 해결할 수 없는것도 분명한 사실이 아닐까.

무속인들이 신에 들린 후 부터 가족들도 모르는 숨겨진 이야기들을 굿중의 무속인이 이야기 하기도 한다. 이미 숨진 사람이 어느곳을 거쳐 갔는지를 말하기도 한다. 모두 뇌의 영역에서 벌어지는 일이지만 과학적인 입장에서 설명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세상일을 풀어가고 예측해가기 위해 과학에 대한 맹신에 빠지는 것과 함께 비과학적인 해석과 방법에만 매달리는 것도 피해야할 일이다. 이 책과 같이 과학적인 뇌분석으로 최소한 아인슈타인의 뇌가 일반인과 특별히 달랐기에 천재적인 이론들을 내놓을 수 있었다는 비과학적 이야기가 과학적으로 반박할 수 있게 되었으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