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요일, 9월 30, 2008

책읽기의 '달인'?

'책'에 대한 책들이 넘쳐나는거 같다. 책읽기의 달인, 호모 부커스 - 인문학 인생역전 프로젝트 5. 매주 가장 기다리는 책소개 기사가 소개되는 신문지면에 소개되었을 정도면 괜찮은 책일거라는 생각은 했다. 그러나 제목에 따라 붙은 '인생역전'이라는 말이 석연치않은 느낌을 주어 읽고 싶다는 생각에까지는 미치지 못하게 했다. 제목에서 '거부감'과 '의구심'이 먼저 들었다. 이런 감정의 근원은 그저 좋아서 보는 책과 나의 독서습관에 어떤 방법과 형식으로 지나친 간섭을 당한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내가 책을 읽는 방식이 '비효율'적인 것은 분명한거 같다. 조금 어려운 내용이 담긴 책이면 행간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 지나가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한권을 읽었을때 '얻는것들'이 '책읽기의 달인'들이 얻는 그것에 비해 한참을 미치는 못할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독후감 한편 제대로 쓰지 못하는 나인데 인터넷 서점에는 상상하기 힘들정도의 길고 깊은 내용의 독후감들이 있는걸 봐도 그렇다.

책을 읽는데 '효율'적인 방법이 있을 것이다. 그저 흘려 들을 말은 아닌데 왠지 배려없는 선의를 받는 느낌이 들었다. 알라딘에 올라온 이책의 서평을 통해 확인한 내용을 보고서 내가 받은 느낌이 그 책의 내용과 크게 벗어나지 않았음을 알았다.

그렇다. 책을 읽는 이유는 자신의 사회신분을 향상하기 위해서다. (중략) 공자의 시대에도 책읽기가 신분상승의 결정적 요인이었다면 지식기반사회라고 일컬어지는 오늘에야 그 중요성을 새삼 말할 필요가 없을 터다. 자본이 지식을 사서 더 큰 이익을 내던 시대는 지났다. 지금은 오히려 지식이 자본을 구해 더 큰 이익을 남기는 시대이다. (중략) 책읽기와 사회적 성공의 상관관게는 오랫동안 등한시되었다.

기본적으로 저자는 독서를 신분상승과 경제적 이익의 수단으로 인식하고 효율적인 읽기를 주장함으로써 '읽기의 달인'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할 수 있었다( 혹시라도 보관함에 담아 구매했을지도 모를 가능성마저 자를 수 있어 천만 다행이라는 생각이 드는 순간이었다 ).

책을 읽는다는건 그 자체로써 커다란 기쁨을 안고 있다. 미지의 세계와의 만남에 설레고 새로운것들을 알게 되면서 느끼는 즐거움들은 빼놓지 못한 기쁨일 것이다. 책읽기의 효율? 그런건 관심이 없다. 독서를 수단으로 삼고 싶지않다. 그것 자체의 기쁨을 누리는 것일 뿐이다. 효율 따위를 여기에서 까지 찾고 싶지 않다. 그저 읽는것 만으로도 내게는 벅찬 기쁨이다.

그렇게 읽고 쌓여 가는 책 제목의 모음들이 그것을 읽은 이의 관심사를 보여줄 뿐 아니라 주인의 세계와 성격을 귀띔해 주게 될 것이다. 오랜 시절 바뀌고 쌓여온 책을 읽은이의 세계와 취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하나의 완성된 이야기책을 만들어가는 그것이 독서의 내가 생각하는 독서의 의미이다.



※ 별볼일 없는 블로그에 올린 이야기지만 위책의 내용을 비난하거나 폄하할 의도는 없다. 그럴 자격이 내게는 없다. 책을 읽는 방식과 차이에서 오는 생각을 표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