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 2월 26, 2009

얼어붙은 눈물

세계증세가 급변하던 2차세계대전 초엽때였다. 폴란드 장교였던 주인공은 러시아에 해를 끼쳤다는 누명을 쓰고 시베리아 형무소에 수감된다. 수용소에서 만난 여섯명의 사람들과 뜻을 합쳐 탈출을 하고 무작정 인도를 향해 12개월동안 7,000Km가 넘는길을 가면서 겪었던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처음에 책을 잡았던 것은 관심사인 '서바이벌, BushCraft'의 생생한 사례를 접할 수 있을거 같은 '가벼운' 호기심때문이었다. 그러나 '가볍게' 볼 수 있는 책이 아니었다. 읽는 내내 먹먹해지는 느낌을 가져야 했다. 시베리아 형무소에 가기까지는 인간의 가장 극악하고 잔인한 모습을 보여 주었다. 이후 탈출에서 만나는 길에서 만난 여행객들을 그냥 보내지 않는 중국, 몽골, 티벳, 인도 원주민들의 따뜻한 배려와 대접을 통해 그들은 다시 인간에 대한 정과 희망을 회복해가게 된다.

카스피해를 지나다 볼세비키혁명의 와중에 부모를 잃고 수용소에 감금되었다 탈출한 14세의 소녀 '크리스티나'를 만나게 된다. 고된 탈출길에 소소한 즐거움을 주었던 크리스티나는 고비사막을 지나다 결국 목숨을 잃고 말았을때는 가슴아픈 슬픔을 느껴야 했다.

결국 그들은 인도에 도착했고 영국군의 도움과 치료를 받게 된다. 치료가 끝난 후 주인공은 그의 바램대로 폴란드의 해방을 도울 수 있는 길을 찾아 떠나게 된다. 시베리아의 혹한과 고비사막의 살인적인 더위와 갈증, 천길끝 벼랑을 지나야 했던 히말라야 산맥까지 12개월동안 목숨을 걸고 함께 왔던 동료들과도 헤어져야 했다. 마지막으로 뜨거운 포옹을 하고 돌아서는 그들의 모습에서 안타까운 눈물이 흘렀다. 그들은 다시 만나지 못했다.

이 이야기를 읽어가다 보니 자연에서 이룬 이런저런 '무용담'들은 그저 장난처럼 시시하게 느껴졌다.

출판사는 '지호'다. '역시'말이다. 우연인지 몰라도 지호에서 나온책들이 지루하게 느껴진적이 없었다. 지호에서 나온책들을 모두 사고 싶다는 생각도 했을정도였다.

금요일, 2월 20, 2009

Bush Cooker-Wood Gas Stove

네델란드의 한회사에서 만든 Bush Cooker라는 제품이다. Wood Gas Stove의 원리를 이용하다 보니 앞서 말했던 BushBuddy와 거의 같은 구조와 모양을 하고 있다. 소개 동영상을 보니 이런 형태의 버너가 알콜버너의 받침대로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알콜버너와 함께 때에 따라 번갈아 사용하면 좋을거 같다. 코펠하나에 가스버너와 가스통을 컴팩트하게 수납해서 다녀야겠다는 바램에서 출발했던것이 이제 알콜버너와 Wood Gas버너를 수납하고 다니는걸로 귀결되고 있다.

목요일, 2월 19, 2009

Wood Gas Stove - 작동원리



현재 2~3억명 정도의 인구가 나무를 연료로 사용해 조리를 하고 있다고 한다. 대효율이 낮고 연기를 제대로 배출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불을 때는 경우가 많아 '녹내장, 폐질환'등의 질병에 시달리는 어린이들이 화상을 입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나무를 구하기 위해 점점 더 먼곳까지 다녀와야 한다.

Wood-Gas Stove의 작동원리는 1986년도에 콜로라도 에너지대학의 화공학과 교수인 Reed박사의 연구에 의해 만들어 졌다. Reed박사가 아프리카를 방문했을때 대부분의 원주민들이 나무를 연료로 사용하면서 불확실한 연소로 인한 각종 질환에 시달리는 모습을 보며 Stove를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한다(☞ woodgas.com ).

Reed박사는 현재 바이오메탄가스를 개발하는 연구기관인 "The Biomass Energy Foundation (BEF)"와 제3세계 국가를 위한 조리기구를 개발하는 연구기관인 "WoodGas LLC"에서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상용 Wood-Gas Stove들의 판매금액의 일부가 앞서 말한 Reed박사가 일하고 있는 연구기관의 후원금으로 지원되고 있다.

☞ 아래 Reed박사의 사진을 클릭하면 그의 논문 "저개발국가를 위한 WOOD-GAS STOVE"의 원문을 볼 수 있다.


WoodGas Stove의 작동원리를 응용해서 만든 제품을 판매하는 싸이트에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간단한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다( ☞ WoodGas Stove ).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바닥으로 들어온 공기가 두 방향으로 흘러가게 된다. 하나는 나무가 있는 바닥으로 곧장 흘러 들어 가 나무가 연소될때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다른 하나는 몸체사이의 빈공간을 통해 올라간다. 안쪽 몸체는 불에 달궈진 상태이기에 지나가기에 뜨거워 진다. 1차적으로 지나간 공기는 모두 연소되지 않고 열분해를 겪은 후 불완전 연소된 상태(연기)의 Gas로 올라오고 있다. 이때 바깥쪽 으로 올라온 뜨거운 공기와 만나게 되면서 또 한번 연소를 하게 된다. 이로써 두번의 연소를 통해 효율적이고 연기가 줄어드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BushBuddy

Sierra Zip StoveKelly Kettle과 같이 나무조각을 연료로 때는 버너에 맛을 들이다 보니 휘발유, 부탄가스와 같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고효율 버너들이 점점 손에서 멀어져 가고 있다. 종로5가를 나가면 습관적으로 연료통을 채울 1리터짜리 휘발유 두통을 구입했었다. 마지막으로 구입했던게 몇년은 지난거 같은데 연료통의 양이 줄지 않고 그 상태로 남아 있다. 아마도 컴팩트하게 꾸릴 수 있는 알콜버너나 개스버너가 아니면 다시 사용할일이 없을거 같다.

Kelly Kettle은 2.5Pint(약1.5리터)짜리를 구입했었는데 혼자 산행갈때를 위해 1Pint(약 560ml)도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러던중 BushBuddy라는 Wood Stove(버너)를 알게 되었다. 연통효과에 더해 공기를 이중으로 흐르게 해서 나무를 태움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불을 붙이는 Wood Gas Stove는 이미 알고 있었다. 그러나 모터를 교체할 수 있게 되어 있지 않은점이 걸려 Sierra Zip Stove를 선택 했던 기억이 있다. 이 BushBuddy는 똑같은 원리의 Wood Gas를 이용하는 방식이면서 자연적인 공기의 순환외에 별도의 모터를 이용하지 않는점이 마음에 들었다.




Snow Peak의 Trek 900에 꼭맞게 들어가게 만들어 졌다. 음료수 Pet병 정도의 크기인 Kelly Kettle 1Pint은 부피에서 좀 부담이 되었는데 휴대성이 뛰어나다.



캐나다나 미국의 경우에는 특정 시기(봄)가 아니면 사용을 허가한다고 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불을 피울 수 있는 장소가 한정적이다 보니 좀 가려가면서 써야 한다. 국립공원이나 사람이 많이 다니는 곳이라면 거의 불가능할거 같고 '비교적' 인적이 드문곳을 다니면서 불피우기를 좋아하는 산행 스타일을 가진이에게는 충분히 매력있는 제품일거 같다. 그정도 산행 스타일을 가진이라면 산불의 위험성이 있는 때(봄)와 주변의 위험상황을 충분히 예측하고 적절한 장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나무를 때는 버너를 쓰보니 예상과 달리 휘발유나 개스버너와 비교했을때 특별히 위험한 부분은 없었다.

화요일, 2월 03, 2009

Fire Steel - 불꽃의 원리

Fire Steel을 이용해 불꽃을 일으켜 불을 붙이는건 그닥 새로울것도 없는 일인데 그 원리까지 접근하기란 드문 기회였다. Survivaltopics에 보니 원리를 설명해 놓은 글이 있었다.

철은 표면이 산소와 접촉되는 순간 즉시 녹이(산화과정) 슨다는건 상식일 것이다. 그런데 재밌는건 녹이슬면서 열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열이 발생한다는걸 느끼지 못했던건 대부분의 쇳덩이들은 공기체 노출된 표면의 크기가 전체크기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이때 발생한 열이 대부분 철과 공기로 훕수되기 때문이다. 쇠표면에 녹이 스는것만 알았지 그때 열이 함께 발생된다는건 이번에 처음 알았다. 이 화학현상을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쉽게 말해 쇠가 산소와 결합되면서 녹으로 변하면서 열이 함께 발생한다는 것이다.

Fe2 + O2 = Fe2O3 + heat

Or in English:

Iron + Oxygen = Rust + Heat


철의 산화과정 동안 발생하는 열이 쇳덩이에서 생기는 불꽃의 원천 에너지인 것이다. 산화과정을 더 크게만들기 위해서는 매끈한 산소와 접촉하게 되는 쇳덩이의 표면을 증가시켜야 한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쇳덩이가 잘게 나눠질 수록 공기와 접촉하는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산화과정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쇳덩이에서 떨어져 나온 쇳가루는 곧바로 산소와 접촉하면서 산화과정을 일으키고 열을 발산하게 되는데 산화과정을 겪는 표면적이 쇳가루보다 훨씬 커서 열을 흡수하지 못한 쇳가루는 곧바로 발갛게 달아 오르게 된다. 이 달아오른 쇳가루가 우리가 보게되는 불꽃인 것이다.


불꽃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2%정도의 탄소가 함유된 고탄소강이 좋다. 철은 원래 잘휘어지고 무른성질이 있으나 탄소가 첨가 됨으로써 단단한 성질을 띄게 된다. 여기에 부싯돌이나 석영과 같은 단단한 물체를 가지고 비스듬하게 충격을 가하게 되면 불꽃이 일게 된다.

이 방법은 성냥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전 불을 붙이기 위한 중요한 기술로 수백년동안 사용되어왔다. 조금은 숙련된 연습이 필요한 이 기술이 요즘시대에는 효율이 떨어지는 방법으로 보일지 모른다. 그러나 성냥이나 라이터가 제역할을 하지 못하는 어떤 환경에서도 수만번 이상의 불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Fire Steel은 여전히 중요한 야외생활의 기술로 남아 있다.


요즘에는 철만이 아니라 마그네슘등 불꽃을 더 쉽게 만드는 광물질을 추가한 발화막대가 많이 나오고 있으나 원리는 수백년동안 사용되어 왔던 Fire Steel과 동일하다.

☞ 이글의 원문보기
☞ Fire Steel에 대해 예전에 썼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