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활을 시작했던 회사( 지금은 없어졌다 )에서의 일이었다. IT SI업체였고 부사장격인 사람이 신입사원까지 관리하는 수준의 조직관리가 이뤄지고 있었다. 국문과를 졸업하고 취직을 위한 지렛대로 IT학원을 다녔었다. 수료 후 그 학원의 중개로 들어간 회사였다.
그 회사에서 신입사원을 관리하는 책임자는 없었다. 과,차장급 중간관리자는 한명도 없었다. 부사장격인 이사라는 사람이 말단직원까지 모두 체크를 하고 있었다. 회사에서 추진하는 일들도 그 이사의 머릿속에서 그려지는 스케줄과 사람에 대한 평가로 이뤄지고 있었다. 시스템과 체계라는걸 기대할 수 없는 조직이었다. 그렇게 중구난방으로 이뤄지는 일들앞에서 유일하게 통하는 생존법칙은 알아서 배우는거였고 알아서 일을 찾아 나가는 것이었다. 그렇게 하는 사람이 능력있는 사람이었고 유망한 사람이었다.
현실파악능력이 뛰어나지 못했던 나는 한참을 헤매야 했었다. 나는 왜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을까, 왜, 내가 하는 일들에 관심을 가지지 않을까 하는 라는 끝없이 이어지는 의문들을 가슴속에만 품고 지내야 했다. 내가 어디를 가고 있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가늠할 수 없었던 나는 일이 있으면 무작정 밤까지 남아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툭하면 주말에도 일하는 곳에 나와 있었다. 최소한 그렇게는 해야 된다고 여겼었다. 한번씩 있는 회식자리에서 야근과 일들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면 '누구나 그렇게 한다'라는 말을 어김없이 듣곤 했기에.
한참이 지난 후 그때의 일들이 회사의 횡포였고 무책임한 직원관리에서 비롯되었다는걸 알게 되었다. 하지만 그때의 기억과 버릇들이 여전히 내게 남아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퇴근시간이 지난 후 일어서는 것이 왠지 불안하고 어색하게 느껴진다.
공감이 가는 기사를 읽었다.
프레시안 기사 - '순진하면 사회생활 못 한다'는 사회가 정상인가
토요일, 9월 29, 2007
야근에 대한 기억
피드 구독하기:
Comment Feed (RSS)
|